숙명여자대학교숙명여자대학교

사이트맵 열기

사이트맵

 
모바일메뉴열기 모바일메뉴 닫기

SM뉴스

PEOPLE

2025학년도 1학기 교직원 퇴임식…교원 8명·직원 1명 정든 교정 떠나다

  • 조회수 366
  •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 보도일자 2025-08-26
(아랫줄 왼쪽부터) 약학부 백완숙 교수, TESOL학과 강남준 교수, 문시연 총장, 위경우 부총장, 독일언어·문화학과 장영은 교수, 화학과 박동곤 교수.

2025학년도 1학기 교직원 퇴임식이 8월 25일(월) 백주년기념관 한상은라운지에서 열렸다. 


이번에 퇴임하는 교원은 한희숙(역사문화학과), 장영은(독일언어·문화학과), 박동곤(화학과), 이유진(정치외교학과), 박승호(법학부), 강남준(TESOL·국제학대학원 TESOL학과), 이명실(기초교양학부), 백완숙(약학부) 교수 등 8명, 직원은 심석영 부장(법무감사실 팀장) 1명이다. 


이날 문시연 총장은 대학 발전과 후학 양성에 기여한 이들에게 공로패와 꽃다발을 수여했다. 문 총장은 "숙명에서 한평생을 바치며 배움의 중요성과 지식의 가치를 알려주신 교수님들의 발자취는 우리대학의 든든한 뿌리가 됐고, 수많은 제자에게 영감을 줬다"며 "그 유산은 후배들의 삶 속에 이어지며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는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래는 퇴임 교직원 소개.


역사문화학과 한희숙 교수


역사문화학과 한희숙 교수는 우리대학 사학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사학과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1년 부임 이후 한국학연구센터장, 아시아여성연구소장, 문과대학장 등을 지내며 학교 발전에 힘썼다. 또한, 서울시 문화재 위원,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위원, 국립여성사전시관 운영위원, 교육부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진흥심의회 위원, 국사편찬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고, 현재 인천시 문화유산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선시대 사회사와 여성사를 연구하며 단독 저서로 '의녀', '역사학자가 쓴 인수대비', '조선왕실이혼의 사회사'(세종도서 선정), '도적의 사회사' 등을 집필했다. 교수업적 평가 우수상(2010), 올해의 우수교수 연구부문(2014), 수업평가 우수교원(2023, 2024), 스승의날 유공 대통령 표창(2025) 등을 수상했다. 


또한, 한희숙 교수는 학교와 제자들을 위해 총 1억 1천만원의 발전기금을 기부해 '한희숙 강의실'이 명신관 320호에 마련됐다. 한 교수는 "학생들이 있었기에 오늘의 제가 존재할 수 있었다"며 "학생들이 자신을 사랑하며 미래를 열심히 개척해나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독일언어·문화학과 장영은 교수


독일언어·문화학과 장영은 교수는 우리대학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석사, 독일 밤베르크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문과대학장, 독일어권연구센터장, 숙명리더십개발원장 등 교내 보직을 맡았고, 수업평가 우수교원(2022, 2024)과 스승의날 유공 국무총리 표창(2025) 등을 수상했다. 


2000년대 독일 밤베르크대, 튀빙겐대와의 자매결연을 추진하며 국제적 감각을 갖춘 인재 양성의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저술과 번역, 연구뿐 아니라 다양한 교수법을 시도하며 사이버 교양강의 <동화와 꿈의 세계>를 개발해 20년 넘게 많은 학생을 지도했다. 


장 교수는 "숙명여대는 생각을 넓히고 세상을 보는 눈을 확장하게 한 고향이자 행복과 감사함을 배운 곳"이라며 "독일언어·문화학과가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학생들이 성장할 수 있는 마음의 뿌리가 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화학과 박동곤 교수



화학과 박동곤 교수는 고려대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미국 코넬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4년 부임 이후 입학처장, 교무처장, 리더십교양교육원장 등을 맡아 행정 업무 선진화에 기여했다.


박 교수는 냉장고 탈취제, 리튬전지 관련 핵심 기술 발명에 기여했고 2003년 영국 세계인명센터(IBC) 선정 '세계 1000인의 과학자' 명단에 올랐다. 또한, '물과 공기의 화학', '화학으로 본 세상 이야기' 등 수업을 통해 뛰어난 강의력을 인정받아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수업평가 우수교원으로 선정됐다. 


박동곤 교수는 “지난 30년 동안 이 청파 언덕에서 신나고 즐겁게 생활했고 행복했다”며 “뒤돌아보니 제 주변에서 여러분들이 도와주지 않았다면 그 모든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는 점을 깨닫게 됐다”고 말했다.


정치외교학과 이유진 교수


정치외교학과 이유진 교수는 연세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캐나다 토론토대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4년 임용 이후 사회과학대학장, 다문화통합연구소장, 통일문제연구소장, 사회교육과학연구소장 등을 맡아 학문 발전을 위해 노력했고, 대외적으로 한국캐나다학회 회장, 통일연구원 책임연구원도 역임했다.


법학부 박승호 교수


법학부 박승호 교수는 고려대 법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 부임해 법과대학장, 법학연구소장 등을 맡았고 헌법재판소 헌법연구원, 한국공법학회 부회장, 한국헌법학회 부회장 등을 맡아 법조계 발전에 기여했다. 3년 연속 수업평가 우수교원(2022~2024)으로 선정됐으며 사법시험과 공무원시험 등 각종 시험위원으로 참여했다.


TESOL학과 강남준 교수



TESOL학과 강남준 교수는 우리대학에서 중어중문학을 전공하고 영국 요크대 교육학 석사, 영국 리즈대 TESOL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부임한 강 교수는 TESOL 주임교수로서 용산구청과 함께 '여름방학 어린이 영어캠프'를 운영하며 지역사회 초등학생들의 교육 기회 확대에 앞장섰다. 영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국제 컨퍼런스 개최, 테솔 동문 네트워크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올해의 우수교수 교육부문(2022, 2024)으로 두 차례 선정됐다. 


강남준 교수는 “이렇게 건강한 모습으로 정년퇴임이라는 끝자락에 서게 된 것은 정말 기쁘고 감사한 일”이라며 “하나의 끝맺음은 또 하나의 시작이라는 말처럼 이제 테솔 특임교수로서 그동안 부족했던 점을 앞으로 만회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기초교양학부 이명실 교수


기초교양학부 이명실 교수는 우리대학에서 학사·석사 학위를, 일본 쓰쿠바대에서 교육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5년 부임해 한일 근대교육 관계의 역사를 연구하며 '논쟁으로 보는 일본 근대교육의 역사' 등 저서를 집필했고, 한국교육사학회 회장, 한국일본교육학회 정보이사를 역임했다.


약학부 백완숙 교수


약학부 백완숙 교수는 우리대학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의약품시험연구원 원장과 약학대학 동문회장 등을 지냈고, 2022년 부임했다. 


백 교수는 LINC3.0사업을 통해 대구한의대와 협업한 공동 브랜드 화장품 '라모니(Lamoni)'와 건강기능식품 'M-Qure Plus'(엠큐어플러스)를 출시하며 산학협력에 힘썼다. 식약처 표창(2003), 보건복지부 표창(2013), 대한약학회 공직약학자상(2015), 약의 날 국무총리상(2018), 한국FDC규제과학회 유나이티드 국제조화상(2023) 등을 수상했다. 


백 교수는 "모교 교수로 정년을 맞아 기쁘다"며 "저는 한 발짝 물러서지만 앞으로도 숙명여대와 약학 발전을 늘 응원하겠다"고 밝혔다. 


심석영 부장



심석영 부장은 약 32년 7개월간 근무하며 재무회계팀장, 예산기획팀장, 관재팀장, 미래교육원 교학팀장, 특수대학원 교학팀장, 법무감사실 팀장 등 주요 보직을 맡았다. 올해의 직원상(2011), 사립대학 재무·회계분야 발전 유공 교육부장관 표창(2015) 등을 받으며 학교 발전에 이바지했다.